728x90
반응형

전체 글 117

[C++]04.7 복합데이터형 - 포인터와 메모리 해제

포인터는 값 자체가 아니라 값의 주소를 저장하는 변수다. 포인터를 이해하기 전에 일반적인 변수에 대해 명시적으로 그 주소를 알아내는 방법을 알아보자 주소 연산자(&)를 변수 앞에 붙이면 그 변수의 주소를 알아낼 수 있다. home이 변수라면 &home은 그 변수의 주소이다! // address.cpp -- & 연산자로 주소를 알아낸다. #include int main() { using namespace std; int donuts = 6; double cups = 4.5; cout

Study/C++ 2023.03.31

[C++]04.5,6 복합데이터형 - 공용체, 열거체

공용체 공용체(union)는 서로 다른 데이터형을 한번에 한가지만 보관할 수 있는 데이터 형식이다. 구조체는 int형과 long형, double형을 한번에 보관할 수 있지만 공용체는 어느 하나만 보관할 수 있다. 구문은 구조체와 같지만 의미가 다르다. union one4all { int int_val; long long_val; double double_val; }; 이 경우 one4all은 모든 형을 보관할 수 있지만 어느 순간에는 하나만 보관이 가능하다. one4all pail; pail.int_val = 15;// int형을 저장 cout

Study/C++ 2023.03.29

[C++]04.4 복합데이터형 - 구조체

- 관련된 정보를 하나의 단위로 묶어서 저장할 수 있다. - C++에서 구조체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핵심인 '클래스'의 기초가 된다. - 사용자가 정의할 수 있는 데이터형 struct inflatable // 구조체 선언 { char name[20]; float volume; double price; }; 예제 // structur.cpp -- 간단한 구조체 #include struct inflatable // 구조체 선언 { char name[20]; float volume; double price; }; int main() { using namespace std; inflatable guest = { "Glorious Gloria", // name value 1.88, // volume value..

Study/C++ 2023.03.17

[C++]04.3 복합데이터형 - String클래스

string클래스는 배열보다 사용하기가 쉽고 하나의 데이터형으로 나타낸다. // strtyp1.cpp -- C++ string클래스를 사용한다. #include #include // string클래스를 사용하기 위해 int main() { using namespace std; char charr1[20]; // 빈배열 생성 char charr2[20] = "jaguar"; // 초기화된 배열 생성 string str1; // 빈 string 객체 생성 string str2 = "panther"; // 초기화된 string 객체 생성 cout > charr1; cout > str1; cout

Study/C++ 2023.03.10

[C++]04.2 복합데이터형 - 문자열

문자열이란 메모리에 바이트 단위로 연속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문자들을 말한다. 문자열이 너무 길 경우 한행으로 표현할 수 없을 때는 큰따옴표로 묶인 두 문자열을 하나로 결합할 수 있다. 빈칸, 탭, 캐리지리턴과 같은 화이스스페이스로 분리된 두개의 문자열 상수는 하나의 문자열 상수로 결합된다. 아래의 세개의 출력문은 모두 동등하다. cout year; cout

Study/C++ 2023.03.09

[C++]04.1 복합데이터형 - 배열

배열(array)은 데이터형이 같은 여러 개의 값을 연속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구조 배열 선언에서는 세 가지를 선언함 각 원소에 저장될 값의 데이터형 배열의 이름 배열 원소의 갯수 // sample short month[12] // short - 데이터형 // month - 배열이름 // 12 - 배열원소 갯수 원소 갯수를 나타내는 곳은 정수나 const와 같은 기호상수 또는 컴파일 시에 값이 결정되는 8*sizeof(int)같은 상수 수식이어야함.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값이 결정되는 변수는 X 그러나 new 연산자를 사용하여 이러한 제약을 회피가능 배열은 데이터형과 배열이 조합된 복합데이터형 float chicken[30] → float형의 배열 int toto[20] → int형의 배열 배열..

Study/C++ 2023.03.09

[Python] for문을 활용해서 list, dictionary를 만들 때, 사소한 꿀팁

python입문을 하고 list를 배우고 dictionary를 배우고 반복문을 배우면 반복문을 통해 데이터를 처리할 때가 많습니다. 그 중에선 반복문을 활용해서 list와 같은 데이터를 만들게 되죠 쉽게 생각하면 다음과 같이 만듭니다. %%time c = [] for i in range(10_000_000): c.append(i) %%time은 로직 수행시간을 측정하고자 입력한 값입니다. 꽤 빠르지만 수치가 높죠? 하나하나 append하면 오래걸린답니다. 이럴 때는 for문을 한줄로 쓰고 한번에 리스트로 넣어버리세요 %%time a = [ i for i in range(10_000_000)] 속도차이가 상당히 많이 난다. 반복문을 [ ] 로 묶으면 결과물이 리스트로 묶이고 { }로 묶으면 딕셔너리로 묶인..

Study/Python 2023.02.13

[Python] DataFrame에서 null이 들어있는 행만 보고 삭제하기

데이터를 다루다보면 null값이 들어있는 데이터가 상당히 많습니다. 이 값들을 어떻게 처리할 지에 대해서 항상 고민이 되는데요 이 포스팅에선 Row에 들어있는 null값들만 확인하고 그 행들만 삭제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import pandas as pd import numpy as np dogs = np.random.choice(['labradoodle','beagle','mutt','Golden Retrievers', 'Greyhound','French Bulldog','Shih Tzu',None], size=50_000) smell = np.random.randint(0, 100, size = 50_000) location = np.random.choice(['Korea','China','Un..

Study/Python 2023.02.07

KoBERT를 이용한 한국어 7가지 감성 분석

작년에 이 분야를 배우기 시작하면서 진행했던 감성 분석은 기본 중의 기본 같은 느낌이었다. 당시에는 뭘 어떻게 해야하는 지? 데이터는 어떻게 다뤄야하는 지? 뭐가 어떻게 돌아가는 건지? 등등 개념이 제대로 잡히지 않은 상태에서 진행했던 프로젝트였다. (물론 지금도 제대로 잡혔다는 건 아니지만...적어도 1년동안 발전했으니까) 나는 당시 프로젝트를 되게 자랑스럽게 생각했지만 부족한 부분이 많았다. 이후로 더 공부하다보니 요즘 자연어처리는 Transformer계열이 대세라고 했다. 사실 대세가 된 지 좀 시간이 흘렀다. 어찌되었든 대학원에서도 자연어처리 수업을 들으며 그리고 개인적으로 공부하고 논문을 읽어보며 100% 이해는 못했지만 어느정도 이해는 했고 직접 써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게 작년에 하지..

잃어버린 줄 알았던 고등학생 때 제작했던 맵들을 찾았다

어릴 때 게임을 워낙 좋아해서 직접 맵도 만들고 친구들과 즐겨했었는데 그때 뭐 백업이란 개념도 없고 내맘대로 만들고 싶은대로 만들고 그래서 자료가 없었는데 우리 갓갓네이버가 메일을 다 남겨두었다... 개이득 고딩이었지만 계속 친구들 불러다가 같이하고 밸런스테스트하고 어떻게하면 더 재밌게 만들 수 있을까 뭐가 더 끌리게 만들 수 있을까 고민하면서 트리거도 배우고 그랬는데 찾아서 너무 기쁘다. 실명으로 게임캐릭터를 만들고 그랬어서 가린게 많다 처음엔 소소하게 맵에디터 기본 기능을 변형하는 수준으로 만들었다가 당시 유행하던 카오스 게임의 스킬을 만들고 싶어서 이리저리 연구하고 배워서 영광의 비석이라는 스킬 구현 성공 이후 본격적인 맵을 제작한다 친구와 함께! 요구사항 나름 그럴듯하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기타/일기장 2022.11.21
728x90
반응형